2024.03.09 (토)

  • 맑음동두천 -4.5℃
  • 구름조금강릉 -0.3℃
  • 맑음서울 -1.8℃
  • 맑음대전 -1.5℃
  • 맑음대구 0.7℃
  • 맑음울산 0.1℃
  • 맑음광주 0.3℃
  • 맑음부산 0.6℃
  • 맑음고창 -2.3℃
  • 구름많음제주 5.5℃
  • 맑음강화 -0.8℃
  • 맑음보은 -4.4℃
  • 맑음금산 -4.0℃
  • 맑음강진군 0.6℃
  • 맑음경주시 0.7℃
  • 맑음거제 1.8℃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방송/영화/스타

영화, 1987...한 대학생의 죽음이 ‘6월 광장’으로 이어지기까지


“가족이 죽임을 당하는데도 손 하나 까딱할 수 없는 것이 지옥이야.”


마지막 장면에서 박처장(김윤석)이 유해진(한병용)에게 김정남(설경구)의 아지트를 말하라고 협박하는 장면이다. 유해진(한병용)은 사랑하는 가족을 볼모로 하는 고문과 협박으로 박처장이 원하는 것을 해줄 수밖에 없었다. 1987년엔 인간의 품위를 지키기 어려웠고 사랑하는 사람들은 위험에 내몰리던 때였다. 그 시대 속에서 등장인물들은 자신의 소신을 지켜 자기 자리를 지키고, 위험 속에서도 이견을 품위 있게 말했다.


권력축인 박처장(김윤석)과 공안당국에 화가 나서 부검을 실시하는 최환(하정우) 검사, 진실을 끝까지 파헤치는 윤상삼(이희준) 기자, 박종철 죽음의 목격자 오연상 교수 등의 대립은 박종철이 물고문 중에 사망했음을 드러낸다. 박종철의 죽음은 그 전에 무수히 존재했던 다른 박종철의 죽음들에도 의미를 부여하면서 민주화를 위해 싸워왔던 인물들 동아일보 해직기자 이부영(김의성), 재야인사 김정남(설경구),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이 민주화를 촉발시킨다.


자신의 가족이 선의를 베풀어서 거두었던 동이가 빨갱이가 되어 아버지를 죽이는 것을 목격한 박처장(김윤석). 그 상처를 자신들의 권력유지에 사용했던 그 때 그 시절 1987년도의 군부독재 권력층들, 분단의 아픔을 이용, 국민들의 삶을 공포 속으로 몰아넣었던 그들의 권력이 영웅이 아닌, 성실하게 자기 자리를 지켜나가는 대다수 국민들의 힘에 의해 금이 가기 시작한다.


영화 속엔 긴장감이 흐르기도 하다가 피식 웃음이 나기도하고, 뭉클하니 사랑이 싹트기도 하다가 무서울 정도의 날것 그대로를 드러내기도 한다. 주제는 무겁지만 피로감이 없다. 등장인물들 모두가 실존인물이지만, 가상의 인물들만큼이나 캐릭터가 정교하다. 인물들은 영화 속에 우리를 초대해서 함께 명동거리를 뛰어다니며 최루탄 가스를 마시고 재채기를 하게 한다. 영화 초기 제목을 ‘보통사람들’로 생각하였다는 감독의 생각이 이해되는 부분이다. 영화는 평범한 보통사람 여러 명. 그들의 양심, 정의 혹은 그 어떤 것에 의해 보통이 아닌 것을 해내는 과정을 그려낸다.


유일하게 등장하는 가상인물은 연희(김태리)이다. 그녀는 명동에서 시위를 하던 이한열(강동원)과 함께 백골단을 피해 신발 가게로 들어가게 된다. 우리 모두 숙명처럼 그 현장에 함께 할 수밖에 없었다. 연희는 엉거주춤하게 서 있는 대다수의 우리들이다. 노조운동을 하다 사람들에게 배신당해 죽은 아버지 때문에 눈감고 있는 그녀는 해직기자 이부영(김의성)과 김정남(설경구)의 연락책 역할을 하는 외삼촌 한병용(유해진)과 갈등한다. 그러나 결국엔 외삼촌이 끌려가고 이한열(강동원)의 죽음으로서 이 거대한 물결에 합류한다.


주인공은 없다. 우리 모두가 주인공이다. 연희의 캐릭터는 관객에게 당신이 비록 앞장서서 민주화를 외치치 않았다 하더라도 이해한다고, 죄책감을 가지지 말라고 말하는듯하기도 하다. 박처장(김윤석)에게도 마이크를 건네 변명할 수 있는, 한 마디 할 수 있는 아량을 베풀어 주기도 한다. 성실한 고증들이 아프지만 아름다운 그 시대의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충무로 어벤져스’라는 화려한 캐스팅의 배우들, 그들의 연기가 우리가 잃어버렸던 그 무엇인가를 다시 찾게 만들어 준 영화이이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