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 결혼, 출산을 포함해 마침내 꿈과 희망마저 포기했다는 N포세대의 현실을 반영하듯 지난해 한국의 20∼30대 가구소득증가율이 사상 처음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현실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부채와 실업, 국제화, 인구통계적 요인, 치솟는 집값 등으로 말미암아 선진국 20대 청년들의 소득증가율이 이전 세대보다 훨씬 떨어져 소득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으며, 세대간 불평등으로 번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룩셈부르크소득연구(LIS)의 보고서가 밝혔다. 국가간 비교연구 수행기관인 LIS는 미국과 영국, 독일, 프랑스, 캐나다, 스페인, 이탈리아, 호주 등 8개국에 대한 2010년까지 20∼30년간 각국의 연령대별 가처분소득증가율을 비교한 결과, 호주를 제외한 7개국의 가구주 연령기준 25∼29세의 소득증가율이 나라 전체 평균을 밑돈 반면, 60∼70대층의 소득증가율은 8개국 모두 평균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의 소득증가율을 중심으로 볼 때 이탈리아는 평균보다 19%포인트 낮았고, 스페인은 평균 대비 12%포인트 떨어졌다. 미국은 평균보다 9%포인트, 프랑스는 8%포인트, 독일은 5%포인트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평균 이상인 국가는 호주뿐으로, 평균 증가율보다 27% 높았다. 반면 65∼74세 연금수급자의 소득은 모두 전체 평균을 크게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율 차이 기준으로 영국은 평균보다 약 60%포인트 이상 가장 컸고 프랑스는 31∼49%포인트, 스페인은 31∼33%포인트, 미국 25∼28%포인트인 것으로 드러났다. 영국과 호주를 제외한 6개국의 20대가 실질적인 임금손실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미국의 20대는 연금수급자보다 가난하고, 영국에서는 연금수급자의 가처분 소득증가율이 20대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과 유럽에서는 주택위기가 아직 해소되지 않고 있어 높은 주택 월세와 난방비 등 소득 대비 과도한 주거비 부담 때문에 캥거루족과 하우스푸어의 양산으로 이어지고 있다. 즉, 앞으로도 계층간 소득 불균형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